일반

‘2024 서울 바이오연료 및 바이오항공유 컨퍼런스’ 13일 포시즌스 호텔 개최

[고카넷, 글=남태화 기자] 한국바이오연료포럼, 주한미국대사관, 미국곡물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2024 서울 바이오연료 및 바이오항공유(SAF) 컨퍼런스’가 8월 13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EU, 미국 등 세계 각국이 2050 탄소중립을 위해 바이오연료와 바이오항공유 의무혼합제도 등 수송부문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과 지원제도를 앞다투어 제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와 관련 산업계에 국제적인 정책과 시장환경을 소개하고, 경쟁력 있고 효과적인 바이오연료 및 바이오항공유 활용과 보급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자리다.

미국 농무부 알렉시스 테일러 차관은 개회사를 통해 전 세계가 해결책을 찾고 있는 탄소감축을 위해 기술개발과 원료조달 부문에서의 한국과 미국의 적극적인 협력을 제안했다.

또한, 이날 기조 발제에 나선 유영숙 한국바이오연료포럼 회장은 “인류가 마주할 가장 큰 위험은 기후위기”라며, “우리가 국제사회에 약속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2030 NDC) 달성은 물론 2050 탄소중립을 위해 세계 각국의 탄소감축 노력에 동참하려는 정부와 업계의 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미국곡물협회 케리 시퍼러스 부사장은 축사를 통해 “대한민국은 좁은 국토와 자원 부족 국가임에도 우수한 인력, 뛰어난 기술력과 경제적인 원자재 확보 능력을 바탕으로 세계 10대 경제대국으로 성장했듯이 원료와 기술에 제한을 두지 말고 미래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국제사회와 협력하면 바이오연료와 바이오항공유 분야에서도 경쟁력 있는 선도 국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13일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개최된 ‘탄소중립을 위한 2024 서울 바이오연료 및 SAF 컨퍼런스’에서 한국바이오연료포럼 유영숙 회장이 ‘기후변화시대 바이오연료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기조발표를 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서 첫 발표자로 나선 S&P Global 후안 사코토 수석이사는 “EU, 캐나다, 일본, 브라질 등은 의무혼합정책 도입으로, 미국은 강력한 지원제도를 통해 바이오항공유 도입에 나서고 있다”며, “최대의 바이오항공유 시장인 아시아 각국도 바이오연료 업계와 항공 산업계가 SAF로 빠른 전환을 위해 정부에 SAF 정책을 요구하면서 SAF 개발을 위한 노력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2030년 이후 급증하는 SAF의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폐식용유(UCO)를 원료로 하는 기술에 올인하기보다는 ‘식물 추출 에탄올을 항공유로 만드는 기술(ATJ)’과 같이 풍부한 원료와 경제성을 제시할 기술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아르곤국립연구소 이의성 박사는 GREET(Greenhouse gases, Regulated Emissions, and Energy use in Technologies) 모델을 사용한 바이오연료와 바이오 항공유의 LCA(전주기) 분석에 대해 설명했다.

이의성 박사는 “LCA분석으로 SAF의 탄소 배출 감소 정량화가 가능하며, SAF 생산 경로를 더욱 탈탄소화 하기 위해 LCA분석이 적극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바이오에탄올을 사용한 ATJ 기술은 기존의 대규모 에탄올 인프라를 사용할 수 있어 상당한 잠재력의 탄소감축 효과가 기대됨으로 한국 산업계의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13일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개최된 ‘탄소중립을 위한 2024 서울 바이오연료 및 SAF 컨퍼런스’에서 미국곡물협회 케리 시퍼러스(Cary Sifferath) 부사장이 축사를 하고 있다.

세 번째 발표자인 미국 바이오항공유 생산기업 GEVO의 폴 블룸 이사는 “2050년까지 바이오항공유는 미국만으로도 현재 GEVO의 생산규모의 400배, 현재 공급능력의 1,200배의 수요증가가 기대된다”며, “급증할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경제적인 대안은 식물성 기름과 동물성 지방을 수소처리해 생산하는 ‘HEFA(Hydrotreated Esters and Fatty Acid)’ 뿐만 아니라 ATJ 기술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GEVO는 델타(Delta), 아메리카 에어라인, 브리티시 에어웨이즈, 핀에어, 재팬 에어라인 등 세계의 유수의 항공사와 바이오 항공유 공급계약을 이미 체결했으며, ATJ 기술을 통해 탄소를 감축하고 경제성을 확보할 로드맵을 구축한 상태다.

네 번째 발표자로 나선 미국곡물협회 SAF 컨설턴트 마크 잉게브렛슨은 현재 SAF 생산기술인 HEFA와 ATJ의 장단점 분석을 통해 SAF 생산기업들이 고려해야 할 점을 제시했다.

그는 “폐식용유(UCO)를 사용하는 HEFA 방식은 가장 현실적인 기술이나 제한된 원료로 SAF 수요가 급증할 경우 원료 및 경제성 확보가 가장 큰 장애요인”이라며, “현재의 정유시설에서 4~5% 생산이 가능한 Co-Processing은 단기적인 대안이 될 수도 있으나 생산의 규모화가 어렵고, 원료의 안전성, 국제사회가 인정하는 인증확보가 극복해야 할 과제”라고 지적했다.

13일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개최된 ‘탄소중립을 위한 2024 서울 바이오연료 및 SAF 컨퍼런스’ 현장 사진

오후 세션에서는 주한일본대사관 타치바나 마사히로 참사관이 일본의 바이오연료와 SAF 정책에 대해 발표했다.

타치바나 참사관은 일본은 2005년 교토의정서 이후 수송부문의 탄소감축을 위해 매년 50만 KL의 바이오연료 사용에 정부와 정유기업들이 합의하였고, 이에 따라 바이오에탄올을 혼합한 ETBE를 자동차 함산소제로 사용하여 국제사회에 약속한 탄소감축을 이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일본은 항공유에 2030년까지 바이오항공유를 10%까지 혼합한다는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와 정유사, 항공사 등으로 구성된 민관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미 일본의 석유회사 ENEOS는 HEFA 방식으로, Cosmo Oil은 HEFA와 ATJ 방식을 통해 바이오항공유(SAF) 생산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일본은 Green Innovation 펀드 조성과 20조엔 규모의 GX 경제전환 채권발행을 통해 정유사들의 SAF 투자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국내의 SAF 생산과 공급지원을 위해 리터당 30엔의 SAF 세금공제를 지원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중앙대 경제학부 김정인 교수가 진행한 패널토론에서 참석자들은 바이오연료, 바이오 항공유가 수송 분야의 현실적이고 경제적인 탄소감축 대안이라는 것에 동의했다.

또한, 바이오항공유 분야에서 자원의 부족이 예상되는 폐식유(UCO) 중심의 HEFA 기술과 공급기반 구축에 올인 하는 것은 리스크가 클 수밖에 없음으로 바이오에탄올을 사용하는 ATJ 기술과 공급망 구축에도 깊은 관심을 가져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이번 컨퍼런스에는 한국정부, 정유사, 항공사, 정부연구소, 바이오연료 업계에서 250명이 참석, 바이오연료와 바이오항공유에 대한 정부와 산업계의 높은 관심을 보여줬다.

사진제공=미국곡물협회 한국사무소

남태화 편집장

유리하다고 교만하지 말고, 불리하다고 비굴하지 말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