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용차

한국지엠, GM 신차 생산 위한 창원 도장공장 준공식 개최… 시간당 60대 도장 가능

[고카넷, 글=남태화 기자] 한국지엠주식회사(사장 카허 카젬, 한국지엠)는 11일 창원공장에서 GM 차세대 신제품 생산을 위한 도장공장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날 준공식에는 카허 카젬 사장과 지엠테크니컬센터코리아 로베르토 렘펠 대표 등 주요 임직원, 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 김성갑 지부장, 박종원 경상남도 경제부지사, 허성무 창원시장, 창원고용노동지청 유해종 지청장,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정만기 회장 등 관계자 40여명이 참석했다.

카허 카젬 사장은 “한국지엠은 2018년 이해관계자들과 한 약속을 이행해 오고 있으며, 창원 신도장공장 완공은 약속 이행의 이정표 중 하나로 그동안 노력과 지원을 기울여준 모든 관계자들에게 감사드린다”며, “내수 및 수출 시장에 글로벌 신차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를 성공적으로 출시한데 이어 창원 공장의 투자로 약속한 차세대 글로벌 신제품 생산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허성무 창원시장은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해 자동차업계와 지역경제가 많이 어려운 상황에서 새로운 공장이 창원 경제 전반에 큰 활력소가 됨과 동시에 신규 일자리 창출 및 지역 부품업계 활성화를 위한 디딤돌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창원공장에 신축된 도장공장은 8만㎡ 규모에 3층 높이로 지어졌으며, 시간당 60대의 신차 도장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주요 공정의 전자동화와 환경 친화적인 설비 구축 등 최상의 제품 품질 확보를 위한 최첨단 기술이 적용됐다.

새로운 도장 재료를 적용해 더욱 친환경적인 공장으로 탈바꿈한 창원 도장공장은 수용성 시스템 적용으로 휘발성 유기용제 화합물(VOC) 배출을 획기적으로 낮췄으며, 도장 부스에서 배출하는 가스를 농축해 처리하는 환경 설비도 갖췄다.

또한, 공장 내 전체 공기를 재순환하는 공조 설비 시스템을 적용, 에너지를 재활용하고 절약하는 친환경성을 자랑한다.

특히, 1층에 모든 수작업 공정을 비롯해 2층에 자동화 페인팅 공정, 3층에 공조 설비를 배치함으로써 물류 및 작업자의 편의성과 생산성의 균형을 맞췄다.

이외에도 작업자 동선 및 도장 작업에 문제가 될 수 있는 먼지 유발 공정을 최대한 분리 배치해 보다 완벽한 차량 도장 작업이 가능하도록 했다.

창원 도장공장은 기존 쉐보레 스파크 크기의 자동차 생산은 물론, CUV 모델의 생산과 함께 향후 한 단계 더 큰 크기의 자동차까지도 다양하게 생산할 수 있는 공장으로 설계되는 등 폭넓은 생산성을 자랑한다.

또한, 시간당 최대 60대까지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형태의 투톤 도색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GM 글로벌의 최신 표준 기술에 따라 국내외 최고 수준의 실링 및 도장 자동화 설비가 적용돼 무결하고 균일한 도색 작업이 가능하며, 헴 플랜지 실링 로봇 공정은 국내 최초로 적용된 기술이다.

한편, 한국지엠은 차세대 글로벌 신차를 위한 창원 공장 내 시설 투자를 지속해 향후 한국지엠 경영정상화를 위한 차세대 CUV를 2023년부터 생산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창원공장 내 프레스 라인, 차체 라인, 조립 라인 등 여러 신규 설비에 대한 설치 공사를 이어갈 계획이다.

사진제공=한국지엠주식회사

남태화 편집장

유리하다고 교만하지 말고, 불리하다고 비굴하지 말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