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 ‘제41회 자동차모빌리티산업발전포럼’ 개최
[고카넷, 글=남태화 기자]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회장 강남훈, KAIA)와 한국모빌리티학회(회장 이희진)는 4월 9일 오전 10시 킨텍스 전시장에서 ‘모빌리티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AI 확대 전략’을 주제로 ‘제41회 자동차모빌리티산업발전포럼’을 개최했다.
KAIA 강남훈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AI가 자동차의 주행 안전성과 자율주행 기술 향상, 제조시설의 생산효율성 증대, 고객 경험 등 다양한 분야에 확대 적용되며,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어 미래차산업 전환의 동력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며, “미국의 관세부과, 중국의 미래차 경쟁력 향상 등 미래차 산업의 다양한 난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AI 기술의 광범위한 활용과 선제적인 도입으로 제품 및 제조 경쟁력 향상이 필요하며, 협회는 AI 확산을 위한 제도 개선과 정부 지원 확대를 적극 건의 하겠다”고 밝혔다.
주제 발표는 AI기반 모빌리티 산업의 진화 방향과 시사점(심용운 동국대 대우교수), 모빌리티 R&D 분야의 AX 전략(송준영 현대모비스 통합시스템해석팀장), 자동차산업 제조분야AI 확산방안(송병훈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스마트제조연구센터장) 순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주제 발표로 나선 심용운 대우교수는 “자율주행차의 성공을 위해서는 AI의 활용이 필수이며, 이를 위해서는 종단간(E2E) 자율주행시스템에 적합한 혁신적인 AI 모델 적용 등 기술적 혁신과 더불어 법윤리와 개인정보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 정부 주도의 R&D와 통신 및 데이터 인프라 구축 등 정책적 지원도 수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주제 발표자인 송준영 팀장은 자사의 제품설계에 AI 기술을 적용해 더 안전한 운전자 보호 설계, 최적 형상 디자인 생성툴 개발 등 사례중심으로 발표였으며, 인공지능이 적용된 효과적인 R&D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엔지니어들의 AI활용 능력을 키우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마지막 주제 발표자인 송병훈 센터장은 “전기차로 촉발된 자동차 제조환경의 변화에 맞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AI 자율제조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기술인 Software Defined Factory로의 전환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을 주재한 연세대 이희진 교수는 “모빌리티산업에 더욱 고도화된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하여 산업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산학연 및 정부가 함께 숙련된 AI 전문가의 육성, AI를 적용한 응용기술 개발 등에도 더 힘을 쏟아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사진제공=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