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용차

한국자동차산업협회, ‘2022년 자동차산업 평가 및 2023년 전망’ 보고서 발표

[고카넷, 글=남태화 기자] 한국자동차산업협회(회장 강남훈, KAMA)가 올해 우리 자동차산업을 평가하고 내년도 산업여건을 전망한 ‘2022년 자동차산업 평가 및 2023년 전망’보고서를 발표했다.

12월 5일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0월까지 누적 판매 기준으로 2022년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반도체 수급난 및 각종 공급망 차질로 전년대비 0.7% 감소한 8,432만대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 10.8% 감소, 서유럽 9.8% 감소, 일본 7.2% 감소, 러시아를 포함한 동유럽 29.1% 급감한 반면, 국내는 비교적 낮은 감소율(-4.2%)로 선방했다.

또한, 글로벌 판매에서 현대차그룹(현대, 기아, 제네시스)은 8.1%의 점유율로 지난해에 이어 글로벌 3위 유지했다.

2022년 국내 자동차산업은 연초부터 발생한 러-우 전쟁, 중국의 코로나19 봉쇄로 인한 공급망 차질, 반도체 수급 부족 등 연이은 글로벌 악재로 생산 차질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또한, 국내외 자동차 수요 대비 공급이 감소, 하반기에 반도체 공급 개선으로 생산 증가함에 따라 내수 및 수출 동반 회복세 시현했다.

내수는 친환경차 및 SUV 판매 인기에도 불구하고 공급 감소로 높은 대기수요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2.3% 감소한 169만5000대를 기록했다.

수출은 친환경차, SUV 등 국산차의 판매 호조세 및 환율 효과로 11.7% 증가한 228만대, 수출액 또한 고가격 차량 수출 증가로 14.1% 증가한 530억불로 역대 최대금액 경신 예상된다.

생산은 각종 글로벌 악재로 반도체 및 부품 수급난이 지속되며 상반기 차질을 겪었으나, 하반기 높은 회복을 보이며 6.9% 증가한 370만대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러-우 전쟁 영향으로 에너지 가격 폭등 및 부품 수급 차질을 겪고 있는 대부분의 유럽 지역과 일본 등 주요 완성차 제조국 대비 양호한 생산 실적 유지하고 있다.

2023년은 자동차용 반도체 수급의 회복과 더불어 누적 수요가 이연되며 소폭 성장이 기대되나, 팬데믹 이후 각국 통화 정책의 긴축 전환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가 예견되며 고물가·고금리가 신규 수요를 일부 제한할 전망이다.

내수는 누적된 대기수요가 해소되고 전년도 저조한 실적의 기저효과로 플러스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나, 경기침체로 인한 가계 가처분소득 감소와 고금리가 신규 수요를 제한해 전년 대비 1.5% 증가한 172만대 전망된다.

수출은 글로벌 경기침체, 미국 IRA법으로 인한 전기차 수출 차질, 러시아 수출 중단 등의 악재가 있는 반면, 국산차의 높은 상품성과 더불어 고환율 지속으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며 3.1% 증가한 235만대 전망된다.

생산은 견조한 국내외 수요를 바탕으로 각종 원자재 및 반도체 수급이 원활히 진행될 경우 1.4% 증가한 375만대 전망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 강남훈 회장은 “올해 자동차 시장은 미·중 패권경쟁 등 자국 중심의 보호무역 확대, 반도체 부족과 연이은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도 불구하고, 국내 완성차와 부품업계의 노력으로 생산을 확대하였으며, 정부 또한 공급망 차질 해소 노력이 더해져 역대 최대 수출금액 530억불을 달성함으로써 국가 경제에 버팀목이 되고 있다”며, “향후 지속적인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美IRA법 피해 최소화, 수출 물류애로 해소 등 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추가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내년도 국내 시장은 2년 연속 감소의 기저효과로 인해 소폭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나, 경기침체와 고금리 여파로 자동차와 같은 내구재 소비 여력이 위축될 우려도 있다”며, “코로나19와 공급망 차질로 한계에 직면한 자동차 산업 생태계가 내수 위축으로 인해 경영 악화가 가중되지 않도록 개별소비세 감면 연장 등 다양한 소비 지원과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10년은 전동화 및 자율주행, 로봇 등 미래차 전환을 위한 신규 투자가 필요한 시점으로, 원활한 미래차 전환 지원을 위한 미래차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며, “국내의 높은 인건비와 경직된 노동유연성은 국내 생산 및 투자의 유인을 저하시키고 있어, 생산경쟁력을 확보하고 자동차 수요에 대응하는 원활한 생산 확대를 위해 탄력적인 주 52시간 근무제 적용 등 노동유연성을 위한 제도 개선이 검토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제공=한국자동차산업협회

남태화 편집장

유리하다고 교만하지 말고, 불리하다고 비굴하지 말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